<aside> ℹ️ 다음 버전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
misskey/.config/docker_example.yml at 1cc106b8de558b867adbd545310b9e43f314c0fa · misskey-dev/misskey

</aside>

<aside> ℹ️ # 기호가 붙은 줄은 ‘주석 처리된’ 줄로, 이 상태에서는 없는 줄로 취급됩니다. ‘#’을 제거하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</aside>

<aside> 🔧 반드시 편집해야 하는 항목은 밑줄/기울임꼴/형광펜 으로 강조되어 있습니다. 밑줄만 그어진 항목은 필요에 따라 변경하세요.

</aside>

#   ┌─────┐
#───┘ URL └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

# 서버의 URL을 입력해 주세요
url: https://*example.tld*/

# !! 서버를 시작한 이후, 이 설정을 !!
# !! 절대 절대절대 변경하지 마세요 !!

#   ┌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┐
#───┘ 접속 포트 설정 └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

#
# Misskey에 HTTPS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리버시 프록시를 설정하여야 합니다.
#
#                 +----- <https://example.tld/> ------------+
#   +------+      |+-------------+      +----------------+|
#   | User | ---> || Proxy (443) | ---> | Misskey (3000) ||
#   +------+      |+-------------+      +----------------+|
#                 +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+
#
#   리버시 프록시를 꼭 설정해 주세요. (e.g. nginx)
#   GET 요청을 통해 인증 토큰이 전달될 가능성이 있으므로,
#   HTTPS으로 연결을 안전하게 보호해 주세요.

# Misskey 서버에서 개방할 포트
# * docker-compose.yml에서 편집할 수 있으므로, 여기에서는 변경하지 않습니다.
# * 이 값을 변경하였을 경우 docker-compose.yml도 같이 수정해야 합니다.
port: 3000

PostgreSQL (데이터베이스) 구성

#   ┌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┐
#───┘ PostgreSQL 구성 └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

db:
  host: db  # docker-compose.yml에서 지정한 이름, 또는 외부 Postgres 서버 주소
  port: 5432

  # 데이터베이스 이름
  db: *misskey*
 
  # 인증 정보
  user: *example-misskey-user*
  pass: *example-misskey-pass*

  # 데이터베이스 쿼리를 캐시를 비활성화
  # 일부 정보 반영이 빨라지는 대신, 서버의 부하가 크게 증가합니다.
  #disableCache: true

  # 기타 DB 연결 설정
  #extra:
  #  ssl: true

dbReplications: false

# You can configure any number of replicas here
#dbSlaves:
#  -
#    host: 
#    port: 
#    db: 
#    user: 
#    pass: 
#  -
#    host: 
#    port: 
#    db: 
#    user: 
#    pass: 

Redis 구성

<aside> ⚠️ 이 가이드에서는 기본값에서 변경하지 않는 것을 추천합니다.

</aside>

#   ┌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┐
#───┘ Redis 구성 └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

# 이 영역은 변경하지 않습니다.

redis:
  host: redis  # docker-compose.yml에서 지정한 이름
  port: 6379
  #family: 0  # 0=Both, 4=IPv4, 6=IPv6
  #pass: example-pass
  #prefix: example-prefix
  #db: 1

#redisForPubsub:
#  host: redis
#  port: 6379
#  #family: 0  # 0=Both, 4=IPv4, 6=IPv6
#  #pass: example-pass
#  #prefix: example-prefix
#  #db: 1

#redisForJobQueue:
#  host: redis
#  port: 6379
#  #family: 0  # 0=Both, 4=IPv4, 6=IPv6
#  #pass: example-pass
#  #prefix: example-prefix
#  #db: 1

기타 설정

#   ┌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┐
#───┘ Other configuration └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

# HSTS 비활성화 여부
# 비활성화시 HTTPS 연결 강제를 해제합니다. 보안 상 변경하지 않는 것을 추천합니다.
# <https://m.blog.naver.com/aepkoreanet/221575708943>
#disableHsts: true

# Worker 프로세스 상한
# **기본값은 CPU 코어(쓰레드) 수**이며, 이 보다 숫자를 크게 하더라도 효과가 없습니다.
# 서버의 부하가 클 경우 수치를 조금씩 내려 보세요.
#clusterLimit: 1

# Worker당 동시 처리할 작업
# inbox의 수는 deliver의 10~15% 수준으로 설정하십시오.
# 크게 설정할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부하가 심해지며, 최악의 경우 데이터베이스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.
# 잘 모를 경우, 주석 처리된 상태로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.
# deliverJobConcurrency: 128
# inboxJobConcurrency: 16

# 초당 처리할 작업 상한
# deliverJobPerSec: 128
# inboxJobPerSec: 16

# 실패한 작업을 재시작 횟수 제한
# deliverJobMaxAttempts: 12
# inboxJobMaxAttempts: 8

# IP address family used for outgoing request (ipv4, ipv6 or dual)
#outgoingAddressFamily: ipv4

# 서버에서 외부로 접속할 때에 사용할 HTTP/HTTPS 프록시
# 유효하지 않은 값으로 설정할 경우, 연합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.
#proxy: <http://127.0.0.1:3128>

# 프록시 설정을 무시할 서버를 지정합니다.
proxyBypassHosts:
  - api.deepl.com
  - api-free.deepl.com
  - www.recaptcha.net
  - hcaptcha.com
  - challenges.cloudflare.com

# 서버에서 SMTP/SMTPS 이메일 서버로 접속할 때에 사용할 HTTP/HTTPS 프록시
#proxySmtp: <http://127.0.0.1:3128>   # use HTTP/1.1 CONNECT
#proxySmtp: socks4://127.0.0.1:1080 # use SOCKS4
#proxySmtp: socks5://127.0.0.1:1080 # use SOCKS5

# 미디어 프록시
#mediaProxy: <https://example.com/proxy>

# 외부 미디어를 프록시합니다 (default: false)
#proxyRemoteFiles: true

# ActivityPub GET을 서명하기 (default: true)
# Qdon과 같이 AUTHORIZED_FETCH를 활성화 한 마스토돈 서버의
# 게시물을 가져올 때에 필요합니다.
signToActivityPubGet: true

#allowedPrivateNetworks: [
#  '127.0.0.1/32'
#]

# 업로드/다운로드 파일 크기 제한 (bytes)
#maxFileSize: 262144000